1. 기본 설정 (VPC 생성/서브넷 생성/NAT Gateway 생성)
  2.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
  3. Bastion 서버 생성
  4. 도커 설치
  5. 쿠버네티스 설치
  6. ncp-iam-authenticator 설치
  7. Container Registry 생성
  8.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쿠버네티스 서비스(NKS) 사용 설정 - 7 (쿠버네티스와 NAS 연결)

 

2.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

- 왼쪽에서 'Services' -> 검색창에 'Kubernetes Service' 입력 -> 'Kubernetes Service' 클릭

 

- '생성하기' 클릭

 

- 생성한 VPC, Subnet 등 입력

클러스터 이름 nks-cluster
Kubernetes 버전 1.23.9
CNI Plugin cilium
VPC nks-vpc | 172.16.0.0/16
가용 Zone KR-2
네트워크 타입 Private
Subnet nks-cluster-sub | KR-2 | 172.16.1.0/24 | private
LB Private 서브넷 nks-lb-sub | KR-2 | 172.16.2.0/24 | private
최대 노드 수 10
Audit Log 미설정

 

- 노드풀 설정 -> '추가' 클릭 -> '다음' 클릭

노드풀 이름 서버 이미지 이름 서버 타입 노드 수 Subnet
nks-ndpool 이미 선택된 것 이미 선택된 것 1 nks-cluster-sub | KR-2 | 172.16.1.0/24 | private

 

- 인증키 설정

    -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: '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' 선택

    -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유: '새로운 인증키 생성' 선택

 

- 확인 후 '생성하기' 클릭

 

- 네이버 클라우드 Kubernetes Service: https://guide.ncloud-docs.com/docs/ko/k8s-k8soverview

 

3. Bastion 서버 생성

- 왼쪽에서 'Services' -> 검색창에 'Server' 입력 -> 'Server' 선택

- '서버 생성' 클릭

 

- 서버 정보 선택 -> 서버 이미지 선택 : 여기서는 우분투 리눅스 사용

부팅 디스크 크기 이미지타입 OS 이미지타입 서버 타입
50GB OS Ubuntu Standard

- 아래 '서버 이미지 이름'에서 'ubuntu-20.04' 선택

- 서버 설정

VPC
Subnet 스토리지 종류 서버 세대 서버 타입 요금제 선택 서버 개수
nks-vpc nks-bastion-sub | KR-2 | 172.16.3.0/24 | public  SSD g2 Standard
[Standard] vCPU 2개, 메모리 8GB
시간 요금제 1
서버 이름 Network Interface 공인 IP 물리 배치 그룹 반납 보호 메모 Script 선택
nks-bation '추가' 클릭 새로운 공인 IP 할당 체크 안함 해제   선택없음

 

- 인증키 설정

    -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: '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' 선택

    -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유: '새로운 인증키 생성' 선택

 

- 네트워크 접근 설정

eth0 nks-vpc-default-agc

※ 서버 접속을 위해 'AGC'를 변경해 줘야 한다. 

 

- 최종 확인 및 서버 생성

 

- 네이버클라우드 서버 생성 사용자 가이드: https://guide.ncloud-docs.com/docs/server-create-vpc

+ Recent posts